문예창작학과
문예창작학과
이름
최진석
전공
현대문학(시 비평), 문화이론
TEL
02-970-6279
E-mail
vizario@seoultech.ac.kr
연구실
상상관 608호
학력
1998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노어노문학과 (문학사)
2000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노어노문학과 (문학석사)
2009년 러시아인문학대학교(Russian State University for the Humanities) 예술사대학 '문화의 이론과 역사학과' (문화학박사)
주요 경력
2025년 ~ 현재 한국작가회의 민주주의와문학연구소(구 민족문학연구소) 소장
2024년 ~ 현재 계간 <현대비평> 편집위원
2023년 제24회 젊은평론가상 수상 ("탈인간을 위한 시-차들: 거대한 연결의 시적 조건")
2022년 ~ 2024년 한국작가회의 이사 / 평론분과장 / 민족문학연구소 연구원 / 민족문학연구소 소장
2021년 ~ 현재 시전문 계간지 <청색종이> 편집위원
2021년 ~ 현재 사회인문비평지 <뉴래디컬리뷰>(구 <진보평론>) 편집주간
2020년 ~ 2022년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인문사회학술교수)
2019년 제12회 일곡유인호학술상 수상 (<민중과 그로테스크의 문화정치학>)
2016년 ~ 현재 문화이론 전문지 <문화/과학> 편집위원
2015년 ~ 2017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HK연구교수
2015년 <문학동네> 신인상 평론부문 수상, 문학평론가 등단 ("비인간, 또는 새로운 부족들의 공-동체: 황정은의 소설이 던진 물음")
2014년 ~ 2021년 정치평론지 <진보평론> 편집위원
2011년 ~ 2014년 충북대학교 러시아알타이지역연구소 학술연구교수
2009년 ~ 2011년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박사후과정
연구 분야
전공분야: 문화이론과 문화연구 (Cultural Theories & Cultural Studies) / 비평이론
연구분야: 현대시 비평, 문학이론과 비평사, 근현대 지성사
담당 교과목
2023-1 문학비평연습 : 2023-1 현대시론
2023-2 시창작기초 : 2023-2 현대시비평(대학원)
2024-1 현대시론 : 2024-1 문화이론읽기 : 2024-1 문학비평연습
저널 논문
◾ 안-아르케, 혹은 근대적 인간의 경계를 넘어서― 르네상스 민중문화에 나타난 똥과 오줌의 존재론, 경계연구, vol.4 No.1 pp.110~149, 2025최진석
◾ 불멸과 우주, 또는 지구의 아르케 너머 - 러시아 우주론에서 뉴타입까지, 포스트휴먼의 미-래적 계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No.86 pp.73~100, 2025최진석
◾ 민족의 탈정체화와 안-아르케의 문학 - 이동순의 <강제이주열차>와 김숨의 <떠도는 땅> 나란히 읽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33 No.1 pp.175~212, 2025최진석
◾ 서사와 구성적 욕망 — 이야기-하기와 세계 창안의 시적 경향, 후마니타스 포럼, vol.11 No.1 pp.47~84, 2025최진석
◾ 행성의 시학- 인류세와 기후위기, 새로운 서사를 위한 시론, 비평문학, No.94 pp.233~263, 2024최진석
◾ (비)동시성의 심상지리와 현실의 문학 ― 최일수와 1950년대 한국문학의 비평적 좌표, 국어문학, vol.87 pp.263~298, 2024최진석
◾ 투사를 위한 시학 — 김남주와 사회적 주체화의 문제, 한국시학연구, No.79 pp.349~388, 2024최진석
◾ 인공지능과 문학의 가치에 대한 시론― 휴머니즘 이후 문학성의 미래, 비평문학, No.91 pp.263~293, 2024최진석
◾ 거대한 분절인가, 거대한 연결인가? ― 신유물론의 정치적 존재론, 인문학연구, No.67 pp.75~113, 2024최진석
◾ 보편제국, 근대의 초극 혹은 귀환: 알렉산드르 두긴과 유라시아 지정학, 슬라브학보, vol.38 No.4 pp.333~360, 2023최진석
◾ 바로크와 러시아 문화 ‘탕자 우화’의 변용으로 살펴본 근대성의 기원, 노어노문학, vol.35 No.4 pp.437~468, 2023최진석
◾ 해외 한국학 연구의 새로운 시각과 연구 지평의 확대, 사림, No.83 pp.25~79, 2023최진석
학술대회
◾ 최진석, 문학비평과 '진보'라는 의제, 질문의 시대, 비평의 질문,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혜화관, 2025최진석
◾ 최진석, 참사와 예술 - 1937 강제이주의 문학적 형상화, 증언으로서의 문학과 문화예술,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 국제문화대학 , 2025최진석
◾ 최진석, 서사와 구성적 욕망, 자유전공 시대에 교양은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청운관 619호, 2024최진석
◾ 최진석, 세계문학을 넘어, 세계-외-문학의 가능성과 전망,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수용과 변용의 경계, 한국외대 교수회관 강의실 및 세미나실, 2024최진석
◾ 최진석, '진보'로부터 더 나아가기 위하여, <마르크스주의 연구> 20년의 연구동향과 진보적 학술잡지의 미래, 서강대학교 김대건홀 K505호, 2024최진석
◾ 최진석, 거대한 분절인가, 거대한 연결인가?: 신유물론의 정치적 존재론, 생동하는 사물들의 정치, 예술, 문학, 조선대 재난인문학사업단 세미나실(본관 4145호), 2023최진석
◾ 최진석, 행성의 시학: 인류세와 기후위기 시대의 시적 조건들, 현대시 연구의 새로운 주제와 방법, 아주대학교 다산관 205B호, 2023최진석
◾ Ming Xia, Yun Gyongwoo, Lee Wang Hwi, Andrei Lankov, Kim Inhee, Tim Winter, Lee Dong-uk, Woo Sungmin, Lee Youpyo, Mark Bassin, Shin Beom-sik, Lee Moonyoung, Choi Jin Seok, Mikhail Suslov, Ra Seungdo, 유라시아 제국, 근대의 귀환 혹은 초극: 알렉산드르 두긴과 보편주의 지정학, 신냉전의 도래와 문명의 충돌, 한국프레스센터, 2023최진석
◾ 최진석, 러시아에서 바라보는 한국 현대문학: 두 번째 스텝을 위한 단상, 한국문학의 미래, 유라시아에서 찾다, 서울대학교 8동 두산인문관, 2023최진석
◾ 이성혁, 최진석, 김효은, 남승원, 정재훈, 김남규, 김지녀, 장은영, 투사를 위한 시학: 김남주, 시적 원리의 형성과 발명, 한국문학을 빛낸 해남의 현대 시인, 해남군 문화예술회관 다목적실, 2023최진석
◾ 최진석, 인류세와 지구생태적 위기의 시학: 팬데믹과 그 이후의 시, 2023년 국내학술대회 자료집, 조선대학교 본관 세미나실 4145호, 2023최진석
◾ 최진석, 어떻게 함께 살 것인가?: 코뮨, 또는 공-동성의 공동체, 어떻게 함께 살 것인가?: 코뮨, 또는 공-동성의 공동체, 원광대학교 숭산기념관 2층 제1세미나실, 2023최진석
저역서
◾ 저서
<사건의 시학: 감응하는 시와 예술>(도서출판b 2022)
<사건과 형식: 소설과 비평, 반시대적 글쓰기>(그린비 2022)
<불가능성의 인문학: 휴머니즘 이후의 문화와 정치>(문학동네 2020)
<감응의 정치학: 코뮨주의와 혁명>(그린비 2019)
<민중과 그로테스크의 문화정치학: 미하일 바흐친과 생성의 사유>(그린비 2017)


◾ 번역서
슬라보예 지젝 외 <다시 마르크스를 읽는다>(문학세계사 2019)
그렉 램버트 <누가 들뢰즈와 가타리를 두려워하는가?>(자음과모음 2013)
니콜라스 르제프스키 외 <러시아 문화사 강의>(그린비 2011, 공역)
보리스 카칼리츠키 외 <레닌과 미래의 혁명>(그린비 2008, 공역)
미하일 리클린 <해체와 파괴>(그린비 2009)


◾ 공저서
<한국학의 현재와 미래>(민음사 2025)
<새로운 시선, 사랑과 존재의 발견>(민음사 2024)
<김남주 시인의 삶과 문학정신>(푸른사상 2024)
<2023년 제23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역락 2023)
<바깥의 문학>(도서출판b 2022)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문화과학사 2022)
<2022년 제23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역락 2022)
<똥의 인문학>(역사비평사 2021)
<2021년 제22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역락 2021)
<감응의 유물론과 예술>(도서출판b 2020)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앨피 2020)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사월의책 2020)
<2019년 제20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역락 2020)
<미루다가 영영 못 읽을까봐: 강연으로 쉽게 시작하는 노벨문학상 읽기>(홍시 2018)
<다시 돌아보는 러시아혁명 1-2>(문학과지성사 2017)
<근대 담론의 형성과 지식장의 전환>(소명출판 2017)
<분열된 신체와 텍스트: 포스트휴먼의 무대2>(아카넷 2017)
<동아시아 지식 네트워크와 근대 지식인>(소명출판 2017)
<근대 지식과 저널리즘>(소명출판 2016)
<근대 지식과 인간과학>(소명출판 2016)
<국가를 생각하다>(북멘토 2015)
<불온한 인문학>(휴머니스트 2011)
<코뮨주의 선언>(교양인 2007)
<문화정치학의 영토들: 현대문화론 강의>(그린비 2007)
수상
◾ 탈인간을 위한 시-차들: 거대한 연결의 시적 조건, 제24회 젊은평론가상, 한국문학평론가협회, 2023최진석
창작
◾ 근본 없는 말들의 열정, 딩아돌하, 2025최진석
◾ 간-절기, 밤을 불러내는 주문의 시간, 파란, 2025최진석
◾ 영혼이 머무는 풍경, 서정시학, 2025최진석
◾ 속지 않는 자들이 방황한다, 시와함께, 2025최진석
◾ 지옥보다 낯익은, 현대시, 2025최진석
◾ 너와 나, 구별 (불)가능한 이름들 - 김병호, 황성희, 최재원의 시편들, 현대시학, 2025최진석
◾ 비평의 딜레마 - 이론과 문학, 삶의 거리, 문장웹진, 2025최진석
◾ 세계문학의 바깥, 혹은 세계-외-문학을 향하여, 한국학의 현재와 미래, 2025최진석
◾ 문화와 국가의 가장자리에서 - 검열과 복종, 혹은 비평의 장소, 문장웹진, 2025최진석
◾ 고독한 길녘의 시학, 혼자 넘는 시간, 2025최진석
◾ 인공지능과 문학의 가치에 대한 시론, K-인문 2.0 - 디지털 인문학의 새로운 주제들, 2025최진석
◾ 피로의 진실과 삶에의 태도, 현대시, 2025최진석
◾ 시대와 응답 - 한강과 90년대 문학의 (비)정치적 감수성에 관하여, 문장웹진, 2025최진석
◾ AI시대와 그 이후, 인간과 문학의 향방, 서정시학, 2024최진석
◾ (비)동시성의 심상지리와 현실의 문학 ― 최일수와 1950년대 한국문학의 비평적 좌표, 민음사, 2024최진석
◾ 이야기-하기의 시학 - 최근 시문학의 서사화 경향, 신생, 2024최진석
◾ 삶의 공포와 비루함의 아이러니, 문학과사회, 2024최진석
◾ 말의 타자성과 진실의 이유 - 차호지 <시작법>, 실천문학, 2024최진석
◾ 가장 어두운 밤으로부터 가장 찬란한 밤으로, 내일을 여는 작가, 2024최진석
◾ 혼자 짓는 시-뜨기 - 남지은 <그림 없는 그림책>, 청색종이, 2024최진석
◾ 디아스포라/문학과 정치/시민문학, 100개의 키워드로 읽는 우리문학사, 2024최진석
◾ 이것은 배반에 대한 시다, 현대시, 2024최진석
◾ 투사를 위한 시학 - 김남주, 문학과 정치의 관계, 푸른사상, 2024최진석
◾ 세계문학의 바깥, 하인리히 하이네와 미-래의 디아스포라, 디아스포라 웹진 너머, 2024최진석
◾ 시인의 통찰, 그 너머로 가려면 우리는, 현대비평, 2024최진석
◾ 새로운 노동시의 조건을 묻는다면, 현대비평, 2024최진석
◾ 서사시와 소설 - 루카치와 바흐친, 그 너머, 문학들, 2024최진석
◾ 문학, 서로 다른 평가와 교환의 척도 - 등단제도를 둘러싼 논쟁을 보며, 문화저널, 2024최진석
◾ 눈이 쌓이는 시의 집 - 시의 가치와 현존, 현대문학, 2024최진석
◾ 세계문학의 시차, 혹은 세계-외-문학을 향하여 - 비동시성의 시대와 한국문학의 자리, 웹진 한국연구, 2024최진석
◾ 비평, 또는 반복과 번복 사이의 대화, 창작과비평, 2024최진석
◾ (무)의미의 저편, 문파, 2024최진석
◾ 커먼즈, 우리가 발명하는 미-래, 황해문화, 2024최진석
◾ '사이'를 건너기 위한 독백, 아시아, 2024최진석
◾ 삶, 혹은 욕망의 지도 그리기, K'ARTS, 2024최진석
◾ 당신과 나, 혹은 장소의 운명, 현대문학, 2024최진석
◾ 문학, 또는 인간의 글쓰기는 어디로 가는가? - 인공지능 이후의 창조성과 독창성, 인간성에 대한 단상, 맥, 2024최진석
◾ 먼 지평, 시와 삶 사이의 말들, 걷는사람, 2024최진석
◾ 리얼리즘은 언제나 민주주의다, 삶창, 2023최진석
◾ 문학에서 문학들로: 잡지라는 매체와 미-래를 위한 시도, 백조, 2023최진석
◾ 진보 이후의 진보: 미래와 미-래 사이에서, 뉴래디컬리뷰, 2023최진석
◾ 불멸, 릿터, 2023최진석
◾ 포스트휴먼, 또는 '이후'와 '바깥'의 존재들: 비인간을 둘러싼 시적 물음, 쓺, 2023최진석
◾ 유토피아와 폭력: 도스토옙스키와 루카치, 홀림의 진실, 문학인, 2023최진석
◾ 문학 전달의 두 번째 스텝: 러시아에 소개된 한국문학의 경우, 파란, 2023최진석
◾ 비평 이후의 비평 - 2020년대 문학적 의제의 흐름과 지형, 문학과사회 하이픈, 2023최진석
◾ 묵정밭에서 사라지다, 공정한 시인의 사회, 2023최진석
◾ 류진, <앙앙앙앙>, 청색종이, 2023최진석
◾ 계몽의 상처, 그리고/또는 간계: 루쉰의 <상서>(1925) 다시 읽기, 뉴래디컬리뷰, 2023최진석
◾ 실루엣의 고요한 자세: 구현우, <악천후> 외 6편, 현대문학, 2023최진석
◾ 글쓰기, 또는 불투명한 (부)자유의 기호들, 현대비평, 2023최진석
◾ 먼 것에 대한 사랑, 청색종이, 2023최진석
◾ 다중 진리 시대의 기술과 예술: 양날의 검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에이스퀘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3최진석
기타(학회활동 등)
2020년 ~ 현재 조선대 <민주평화연구> 편집위원
2022년 ~ 2023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홍보이사
2022년 ~ 2023 한국노어노문학회 편집이사(문화)
2022년 ~ 2023 한국러시아문학회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편집위원
2022년 ~ 2023 한국비교문학회 국제이사
2022년 ~ 2024 국제비교한국학회 연구이사
2022년 ~ 현재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연구이사
2024년 ~ 현재 한국노어노문학회 대외협력이사
2024년 ~ 현재 한국러시아문학회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편집위원
2024년 ~ 현재 국제한인문학회 <국제한인문학연구> 편집위원장
2024년 ~ 현재 반교어문학회 지역이사(서울)
2025년 ~ 현재 한국문예창작학회 학술위원
2025년 ~ 현재 세계문학비교학회 학술이사
담당부서 : 문예창작학과
전화번호 : 02-970-6291
공유하기 :   icon icon    
출력하기
copyright(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srved
대학/대학원
공과대학공과대학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기계·자동차공학과기계공학 프로그램자동차공학 프로그램안전공학과신소재공학과건설시스템공학과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건축학부-건축학전공건축기계설비공학과정보통신대학정보통신대학전기정보공학과컴퓨터공학과스마트ICT융합공학과전자공학과전자IT미디어공학과전자공학 프로그램IT미디어공학프로그램에너지바이오대학에너지바이오대학화공생명공학과환경공학과식품공학과정밀화학과스포츠과학과안경광학과조형대학조형대학디자인학과산업디자인전공시각디자인전공도예학과금속공예디자인학과조형예술학과인문사회대학인문사회대학행정학과영어영문학과문예창작학과외국어교육기술경영융합대학기술경영융합대학산업공학과(산업정보시스템전공)산업공학과(ITM전공)MSDE학과경영학과(경영학전공)경영학과(글로벌테크노경영전공)데이터사이언스학과미래융합대학미래융합대학융합기계공학과건설환경융합공학과헬스피트니스학과문화예술학과영어과벤처경영학과정보통신융합공학과창의융합대학창의융합대학인공지능응용학과지능형반도체공학과미래에너지융합학과교양대학교양대학국제대학국제대학대학원일반대학원산업대학원주택도시대학원철도전문대학원IT 정책전문대학원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국방융합과학대학원SeoulTech-KIRAMS의과학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