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창작학과
문예창작학과
이름
신연우
전공
구비문학(신화 및 설화)
TEL
02-970-6294
E-mail
yeon@seoultech.ac.kr
연구실
상상관 611호
학력
1984. : 연세대학교 <문학사 - 국어국문학>
1986.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문학석사 - 국어국문학>
1995.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문학박사 - 국어국문학>
연구 분야
전 공 : 고전문학
연구분야 : 고전시가/구비문학
담당 교과목
신화의세계
구비문학
고전문학사
고전산문의이해
고전시가의이해
한국문학현장답사
서울지역문학공간연구
주요논문 및 저서
주요논문
2014. 02. '경기도 동막 도당굿의 문학적 연구' 한국무속학 제28집
2013. 12. '한국 창세신화, 대보름 민속, 일광놀이의 비교 고찰', 비교민속학회 제52집
2013. 12. '한국창세신화의 속이기 모티프를 통한 트릭스터의 이해', 고전문학연구 제44집
2013. 08. '<바리공주>와 중국 <묘선> 및 유사설화 비교의 관점', 한국무속학 제27집
2013. '제주도 신화와 '고통'의 문제 : <초공본풀이>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 제37집
2012. '서울 새남굿 <노랫가락>의 서정시적 성격' 한국무속학 제25집
2012. '<구렁덩덩신선비> 설화의 결혼 상징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25집
2011. '퇴계(退溪) 시조(時調) 일수(一首) 천착(穿鑿)' 연민학지 제15집
2011. '<초공본풀이> 노가단풍아기씨의 죽음과 재생의 농경신화적 이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23집
2011. '<초공본풀이>의 '과거시험'의 의미' 구비문학연구 제33집
2010. '여성 담당층 관점에서의 <초공,이공,삼공본풀이>의 문학 - 사상의 의미망'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21집
2009. '<제석본풀이> 서사구조의 역사성과 문학성' 고전문학연구 제36집
2009. 02. '초공본풀이의 공간구조', 탐라문화 제34호.
2009. 09. '초공본풀이의 입사담적 면모 연구'. 한국무속학 제19집
2009. 11. '초공본풀이의 중심공간과 초월공간',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발표.
2008. 08. '서사구조를 통해 본 창세신화와 건국신화', 한국구비문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201-217
2008. 08. '<도산십이곡>의 은유', 시학과 언어학 15집
2008. 06. 'FROM NATURE TO MORALITY IN EMERSON AND YI HWANG'S LITERATURE',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11
2007. 12. '<도산십이곡>연구 현황과 과제', 퇴계학논집, p57-85
2006. 02. '서울 굿의 타령 만수받이 노랫가락의 관계'
2005. 12. '서울굿 무가 노랫가락의 양상과 기능'
2005. 12. '시조와 서울 굿 노랫가락의 관계'
2005. 12. '서울굿 노랫가락의 구성과 의미'
2005. 12. '<바보원님>설화의 유형과 시대적 대응구도'
2004. 07. '소설 허생전들과 허생전 배우기의 현재성'
2004. 07. '이황 및 당대 사림 농촌시의 양상과 의의'
2004. 07. '이황의 연비어약 이해와 시적구현'시조학논총(한국시조학회)
2004. 06. '이황의 사림인식과 산수시의 구도'열상고전연구(열상고전연구회) 19집
2004. 06. '<도산십이곡>에의 미학적 접근' 고전문학연구(한국고전문학회) 25호
2003. 12. '이황 산수시에서의 敬의 의미'민족문화론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8집
2003. 12. '이황 문학에서 질병의 의미'열상고전연구(열상고전연구회) 18집
2003. 12. '허목 <퇴조비 설화>연구'구비문학연구(한국구비문학회) 17집
2003. 06. '<상전 속의 하인> 설화와 문학성과 신화성'한국민속학회 37호
2003. 06. '이황 산수시의 양상과 물아일체의 논리'한국사상과 문화 20집
2003. 05. '도산잡영과 도산 십이곡에서의 ‘흥'' 국어국문학 133호
2002. 12. '제의의 관점에서 본 유리왕 황조가 기사의 이해' 한민족어문학회 41집
2002. 12. '조동오위의 시각으로 본 낙산이대성 관음정취조신조의 이해'한국사상과 문화18집
2002. 11. '허목 퇴조비 설화 고찰' 한국구비문학회
2002. 10. '제의의 관점에서 본 유리왕 황조가 가사의 이해'한민족어문학회
2002. 06. '<외쪽이 설화>와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에 보이는 자아의 자기실현 양상', 열상고전연구(열상고전연구회)
2002. 07. '조선전기 관인 농촌시의 구도'국제어문(국제어문학회) 25집
2002. 04. '손없는 색시 설화와 여성 성의식의 성장'우리어문연구(우리어문학회) 18집
2002. 02. '이황의 매화시와 도산십이곡의 관련성'한국시가연구(한국시가학회) 11집
2001. 12. '퇴계와 그 문인의 시조에 나타난 도와 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제24권 4호
2001. 12. '사대부시조와 “위인” “위기”의 자연관' 시조학 논총(한국시조학회), 제17집
2001. 09. '퇴계학파 시조의 양상과 의미' 정신문화연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06. '삼국유사 낙산이대성 관음정취조신 조의 분석적 이해' 한국민속학회, 제33호
2001. 04. '바보사위 설화의 신화적 소인' 연민학지(연민학회), 제9집, p315-336
2001. 04. '손 없는 색시 설화와 여성 성의식의 성장' 한국여성고전문학회
2000. 12. '연암 박지원의 <호곡장기> 연구' 우리어문연구(우리어문학회), 제15집
2000. 12. '장자못 전설의 신화적 이해' 열상고전연구회, 제13집, p149-168
1999. 12. '일상문학의 시각으로 본 이이 시조의 문학사상적 의의' 열상고전연구, 제12집
1999. 12. '윤대녕소설에 보이는 재생신화 모티브 분석옛날영화를 보러갔다를 중심으로 '서울산업대학교 교내논문집, 제50집
1999. 08. '여말 사대부 시조의 작품론적 고찰'동방고전문학연구(동방고전문학회), 제1집, p61-84
1999. 02. '초기 사대부 시조의 질서의식 연구'시조학논총(한국시조학회), 제14집, p147-168
1998. 12. '이현보에서 이황으로 자연시조의 변이에 대한 소고'열상고전연구(열상고전 연구회), 제11집, p5-36
1998. 12. '삼국유사 거타지설화의 신화적 속성'서울산업대학교학술논문집, 제48집, p53-64
1998. 10. '주세붕에서 정철로 훈민시조의 변이와 그 의의'온지논총(온지학회), 제10집
1997. 12. '양생법과 추위의 거리-안조언의<만언사>' 온지학회(숭실대학)
1997. 12. '바보형제 이야기의 신화적 해명'고전문학연구(한국고전문학회), 제12집
1997. 12. '李奎報의 '說'읽기의 한 방법' 우리어문연구(우리어문학회), p257-276
1997. 12. '사대부 시조문학의 서정 갈래적 특성' 열상고전연구(열상고전연구회), 제10집,
1997. 10. '신화구조의 응용적 분석으로 본 김기림의 시<바다와 나비>' 단산학지(전단학회), 제3집, p99-116
1997. 05. '장자못 전설의 신화적 성격에 대한 고찰' 한국 구비문학회(이화여대)
1997. 04. '시조 표현기법의 한 고찰' 연민학지(연민학회), 제5집, p269-290
1997. 02. '16세기 사대부의 시조의 교술적 성격과 후기의 변모' 우리어문연구(우리어문학회), 제10집, p151-179
1996. 12. '까마귀 소재 시조에 나타난 세계 인식의 틀과 문학적 기능'고전문학연구(한국고전문학회)
1996. 10. '일상성의 문학으로서의 시조'온지논총(온지학회)
1996. 10. '깨달음을 주제로 한 고전산문 문학의 양상고찰'열상고전연구(열상고전연구회)
1996. 06. '경세시조에 보이는 세상살이의 표정'문학과의식(계간 문학과 의식사)
1996. 05. '사대부 가사와 현세를 바라보는 네가지 시각' 국제어문학연구회
1994. 12. '조선조 사대부 시조의 이치, 흥취구현 양상과 의미연구' 박사학위논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03. '이세보 시조의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한국문화연구(제3호)
저널 논문
◾ ‘복수(復讐)’의 관점으로 본 <유정승따님애기> 서사 고찰, 한국무속학, vol.48, 2024신연우
◾ <구렁덩덩신선비>와 인도네시아 <뱀 남자>에 보이는 샤먼의 설화적 변모, 비교민속학, No.76 pp.35~59, 2022신연우
◾ 함흥 <창세가>에 보이는 성속(聖俗)의 넘나듦, 한국무속학, No.44 pp.127~148, 2022신연우
◾ <딸의 인연을 망치는 계모> 설화의 세 층위, 구비문학연구, No.62 pp.113~144, 2021신연우
◾ 제주도 무가와 『삼국유사』의 삶의 의미 구현 방식, 한국무속학, No.39 pp.67~91, 2019신연우
◾ 함경도 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의 원형성과 역사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No.38 pp.5~31, 2019신연우
◾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의 ‘마음’과 현대적 수용의 문제, 퇴계학논집, No.24 pp.7~27, 2019신연우
◾ 『삼국유사』 <신라시조 혁거세왕> 기사‘五陵’ 신화의 ‘地上的’ 의미, 열상고전연구, No.54 pp.9~34, 2016신연우
◾ 구비 서사문학에 나타난 ‘빨래’ 모티프 비교 연구, 민속연구, No.33 pp.183~207, 2016신연우
◾ <녹두영감>과 <팥죽할멈> 설화의 문화사적 이해, 구비문학연구, No.41 pp.177~204, 2015신연우
◾ 제주도 창세신화의 얼개를 통해 본 성서와 포폴 부, 비교민속학, No.57 pp.109~135, 2015신연우
◾ 제주도 일반신본풀이에 보이는 악에의 대응과 그 의의, 실천민속학연구, vol.26 No.26 pp.69~94, 2015신연우
◾ 제주도 초감제 신화와 惡의 문제, 한국무속학, vol.29 No.29 pp.143~171, 2014신연우
◾ 제주도 대별왕·소별왕 재탄생담의 신화적 의의, 영주어문, vol.28 No.28 pp.43~71, 2014신연우
◾ <베포도업침>․<천지왕본풀이>의 구조를 통해 본 창세신화와 영웅신화의 관계, 열상고전연구, vol.40 No.40 pp.357~408, 2014신연우
◾ 경기도 동막 도당굿의 문학적 연구, 한국무속학, No.28 pp.61~84, 2014신연우
◾ 한국 창세신화의 ‘속이기’ 모티프를 통한 트릭스터의 이해, 고전문학연구, No.44 pp.101~128, 2013신연우
◾ 한국 창세신화, 대보름 민속, 일광놀이의 비교 고찰, 비교민속학, No.52 pp.227~251, 2013신연우
◾ <바리공주>와 중국 <妙善> 및 유사설화 비교의 관점, 한국무속학, No.27 pp.107~150, 2013신연우
◾ 제주도 신화와 ‘고통’의 문제, 열상고전연구, No.37 pp.207~236, 2013신연우
◾ <구렁덩덩신선비> 설화의 결혼 상징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No.25 pp.121~150, 2012신연우
◾ <초공본풀이>의 비속함과 성스러움, 고전문학연구, No.42 pp.169~193, 2012신연우
◾ 서울 새남굿 <노랫가락>의 서정시적 성격, 한국무속학, No.25 pp.123~147, 2012신연우
◾ <초공본풀이> 노가단풍아기씨의 죽음과 재생의 농경신화적 이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No.23 pp.255~284, 2011신연우
◾ <초공본풀이>의 ‘과거시험’의 의미, 구비문학연구, No.33 pp.77~104, 2011신연우
◾ 퇴계 시조 일수 천착, 연민학지, vol.15 pp.39~60, 2011신연우
◾ 여성 담당층 관점에서의 <초공․이공․삼공본풀이>의 문학-사상의 의미망,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No.21 pp.233~258, 2010신연우
◾ 서사무가 <초공본풀이>의 짜임새와 미적 성취, 구비문학연구, No.31 pp.343~368, 2010신연우
◾ 도산십이곡 가르치기의 구체성 그 일례, 퇴계학논총, 2010신연우
◾ <초공본풀이>의 초월공간과 중심공간, 탐라문화, No.36 pp.85~110, 2010신연우
학술대회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문화재 옛집의 주제별 스토리텔링 활용, 한국옛집 콘텐츠 DB구축 사업의 성과와 발전적 전망,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100주년 기념홀, 2015신연우
◾ 신연우, 바리공주와 중국 묘선 이야기 및 다국적 비교, 한국구비문학회 2012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경기대학교(서울)본관801호, 2012신연우
◾ 신연우, 퇴계 시조 일수 천착, 제5회 연민학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장기원국제회의실, 2010신연우
저역서
2013. 11. '제주도 큰심방 이중춘의 삶과 제주도 큰굿' (공저) 민속원
2013. 03. '서울굿 노래가락과 시조문학' 보고사
2008. 10. '우리 설화의 의미찾기' 민속원
2007. 07. '제왕들의 책사 : 조선시대 편'[개정판] (공저) 생각하는 백성
2006. 05. '경기잡가' (경기전통예술 연구 시리즈2)
2006. 04. '이황 시의 깊이와 아름다움'
2005. 09. '우리한시', 이치
2004. 10. '가려뽑은 우리 시조'현암사
2003. 01. '국문학개론'(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2000. 07. '시조속의 생활, 생활속의 시조' 북스힐
2000. 05. '사대부 시조와 유학적 일상성' 이화문화사
1997. 11.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1997. 08. '조선조 사대부 시조문학 연구' 박이정
◾ 지은이: 신연우, 제주도 서사무가 <초공본풀이>의 신화성과 문학성, 저서, 978-89-285-1036-8, 민속원, 2017신연우
◾ 신연우 지음, 서울굿 노랫가락과 시조문학, 저서, 978-89-8433-846-3, 보고사, 2013신연우
연구프로젝트
◾ 함경도 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의 원형성과 역사성, 산학협력단, 2019.03.~2020.02.신연우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10년사 발간 제작, 산학협력단, 2018.07.~2020.02.신연우
◾ 녹두영감과 팥죽할멈 설화의 문화사적 이해, 산학협력단, 2015.08.~2016.02.신연우
◾ 제주도 일반신 본풀이에 보이는 악에의 대응과 그 의의, 산학협력단, 2015.05.~2016.02.신연우
◾ 제주도 창세신화의 얼개를 통해 본 성서와 포폴 부, 산학협력단, 2015.05.~2016.02.신연우
◾ 제주도 초감제 신화와 악의 문제, 산학협력단, 2014.05.~2015.02.신연우
◾ 제주도 대별왕 소별왕 이중탄생담의 신화적 의의, 산학협력단, 2014.05.~2015.02.신연우
◾ <베포도업침><천지왕본풀이>의 구조를 통해 본 창세신화와 영웅신화의 관계, 산학협력단, 2014.03.~2014.08.신연우
◾ 통합사고력고사를 위한 문제개발 연구, 산학협력단, 2013.04.~2013.05.신연우
◾ <바리공주>와 중국 <묘선> 및 유사설화 비교의 관점, 산학협력단, 2013.03.~2014.02.신연우
◾ 제주도 신화와 고통의 문제, 산학협력단, 2013.03.~2014.02.신연우
◾ 총장 공모제 시행 관련 세부 추진 방안, 산학협력단, 2012.08.~2012.11.신연우
◾ 서울 새남굿 의 서정시적 성격, 산학협력단, 2012.05.~2013.02.신연우
◾ 설화의 결혼 상징과 의미, 산학협력단, 2012.05.~2013.02.신연우
기타(학회활동 등)
국어국문학회 회원
한국고전문학회 회원
한국시조학회 연구이사
구비문학회 회원
동방고전문학회 회원
온지학회 회원
한국어문학회 회원
국제어문학회 연구이사
한국민속학회 회원
열상고전문학회 회원
연민학회 회원
우리어문연구회 회원
담당자 : 문예창작학과
전화번호 : 02-970-6291
공유하기 :   icon icon icon    
출력하기
copyright(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srved
대학/대학원
공과대학공과대학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기계·자동차공학과기계공학 프로그램자동차공학 프로그램안전공학과신소재공학과건설시스템공학과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건축학부-건축학전공건축기계설비공학과정보통신대학정보통신대학전기정보공학과컴퓨터공학과스마트ICT융합공학과전자공학과전자IT미디어공학과전자공학 프로그램IT미디어공학프로그램에너지바이오대학에너지바이오대학화공생명공학과환경공학과식품공학과정밀화학과스포츠과학과안경광학과조형대학조형대학디자인학과산업디자인전공시각디자인전공도예학과금속공예디자인학과조형예술학과인문사회대학인문사회대학행정학과영어영문학과문예창작학과외국어교육기술경영융합대학기술경영융합대학산업공학과(산업정보시스템전공)산업공학과(ITM전공)MSDE학과경영학과(경영학전공)경영학과(글로벌테크노경영전공)데이터사이언스학과미래융합대학미래융합대학융합기계공학과건설환경융합공학과헬스피트니스학과문화예술학과영어과벤처경영학과정보통신융합공학과창의융합대학창의융합대학인공지능응용학과지능형반도체공학과미래에너지융합학과교양대학교양대학국제대학국제대학대학원일반대학원산업대학원주택도시대학원철도전문대학원IT 정책전문대학원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융합과학대학원